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전두측두엽 치매 증상 (감정 조절, 언어 장애, 충동성)

by 꽃이 피었다 2025. 3. 16.

전두측두엽 치매(Frontotemporal Dementia, FTD)는 전두엽과 측두엽이 점진적으로 손상되면서 발생하는 신경퇴행성 질환입니다. 알츠하이머병과 달리 기억력 저하보다 감정 조절 장애, 언어 능력 저하, 충동적인 행동 변화가 먼저 나타나는 것이 특징입니다. 초기에는 성격 변화나 사회적 부적절한 행동이 주로 나타나며, 질환이 진행됨에 따라 언어 장애와 충동성이 심해질 수 있습니다. 본문에서는 전두측두엽 치매의 주요 증상인 감정 조절 장애, 언어 장애, 충동성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감정 조절 장애 (왼쪽)감정 기복이 심한 모습을 강조, 언어 장애(가운데)단어를 떠올리지 못하거나 문장을 구성하기 힘든 모습을 표현, 충동성 (오른쪽)깊이 생각하지 않고 즉흥적으로 행동하는 모습
전두측두엽 치매 증상인 감정 조절(좌), 언어 장애(가운데), 충동성(우)을 표현한 이미지

감정 조절 장애 – 감정이 사라진 사람처럼 보이는 변화

전두측두엽 치매에서 감정 조절 문제는 가장 먼저 관찰되는 증상 중 하나입니다. 환자는 더 이상 타인의 감정에 공감하지 않고, 본인의 감정 표현 또한 점점 줄어듭니다. 이는 단순한 냉담함을 넘어서, 사회적 규범을 인지하고 따르는 기능 자체가 약화되기 때문입니다.

감정 표현의 변화

전두엽의 손상은 감정 조절과 관련된 신경 회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뇌의 전두엽은 우리가 사회적 관계에서 적절한 감정을 표현하고 억제하며 타인의 기분을 이해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이 기능이 무너지면 환자는 다음과 같은 행동을 보입니다.

  • 정서 납작(flat affect): 얼굴 표정이 무감정해지고, 기쁨·슬픔·분노 등 감정 표현이 줄어듦.
  • 무관심(apathy): 주변 일에 무관심하고, 좋아하던 활동에도 흥미를 보이지 않음.
  • 공감 능력 상실: 가족이 슬퍼하거나 화를 내도 아무런 반응 없이 무표정하게 반응하거나 무시.
  • 이상한 반응: 타인의 고통을 보고 웃는다거나, 장례식장에서 어울리지 않게 농담을 하는 등 비정상적인 감정 반응.

사회적 감각 저하

전두엽 손상이 심해지면 사회적 관계 유지 자체가 어려워집니다. 환자는 상황에 따라 적절한 감정을 선택하거나 조절하지 못하게 되고, 사회적 맥락을 이해하지 못해 ‘예의 없다’, ‘몰상식하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 예: 교회나 예식장 같은 조용한 장소에서 큰소리로 떠들거나 웃는 행동
  • 예: 다른 사람의 프라이버시를 고려하지 않고 무례한 질문이나 터치를 시도

가족의 고충

가족들은 환자가 전혀 다른 사람처럼 변해버렸다고 느낍니다. 이전에는 다정하고 감정 표현이 풍부하던 사람이 감정이 없는 인형처럼 보이고, 일상적인 대화에서도 ‘기계처럼 말하는 느낌’을 받을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이 감정 표현 결핍은 가족 간 유대와 소통의 단절로 이어져 간병 부담을 심화시키고, 정서적 피로를 누적시킵니다.

임상적 중요성

이런 감정 변화는 단순한 우울증이나 무기력과 혼동되기 쉬워 조기 진단이 어렵습니다. 하지만 MRI 상에서 전두엽 위축이 확인되고, 사회적 공감 능력 저하가 행동에 반영된다면 전두측두엽 치매의 핵심 증상으로 간주됩니다.

언어 장애 – 점점 잃어가는 말의 능력, 표현의 단절

전두측두엽 치매에서는 언어 기능의 점진적 저하가 매우 특징적으로 나타납니다. 특히 비유창성 실어증(progressive non-fluent aphasia, PNFA) 또는 의미 실어증(semantic dementia)과 같은 언어 중심형 FTD에서는, 치매의 초기부터 언어 문제가 단독 증상으로 수년간 지속되기도 합니다.

언어 장애의 시작

초기에는 단순히 단어를 떠올리지 못하거나 말수가 줄어드는 정도로 시작합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날수록 대화 능력 전반에 영향을 미치며, 주변 사람과의 의사소통이 거의 불가능해질 수 있습니다.

  1. 어휘력 저하: 평소 사용하던 단어가 생각나지 않아 '이거', '그거'로 대체
  2. 문장 구성력 저하: 문장이 비문법적이고 단순하며 어순이 엉켜 있음
  3. 이해력 저하: 상대방의 말이나 지시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함
  4. 의미 상실: 단어 자체의 의미를 잃어버림 (예: ‘냉장고’가 무엇인지 모름)
  5. 반복 표현: 같은 단어나 표현을 반복하며 대화의 유연성이 사라짐

쓰기와 읽기 능력 저하

언어 기능이 저하되면 단어 쓰기와 읽기 능력도 같이 손상됩니다.

  • 편지를 쓰는 것이 어려워지고,
  • 신문을 읽거나 TV 자막을 이해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며,
  • 계산 능력도 같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발음과 발화의 변화

전두측두엽 치매의 한 형태인 PNFA에서는 발음 자체가 부정확해지고, 단어 사이의 연결이 어색해집니다. 말이 더뎌지고, 문장 끝맺음이 불분명하며, 대화 속도가 현저히 느려집니다.

가족 입장에서의 변화 체감

  • 환자와 대화가 단절되고, 반복적인 질문이나 무의미한 말을 들으며 답답함을 느낍니다.
  • 점점 말을 걸지 않게 되고, 가족 구성원 간 소외감과 고립감이 심화될 수 있습니다.

임상 진단 기준과 감별

언어 기능 저하가 주요 증상으로 나타나고, MRI 상에서 측두엽(특히 왼쪽)의 위축이 확인된다면 의미 실어증형 FTD 또는 PNFA형 FTD로 진단됩니다. 이 유형은 알츠하이머병과 가장 많이 혼동되므로, 신경심리검사와 뇌영상 촬영을 통한 감별 진단이 중요합니다.

충동성 – 멈추지 못하는 행동과 억제력의 붕괴

전두엽은 뇌의 ‘브레이크’ 역할을 합니다. 즉, 인간이 하고 싶은 욕구나 행동을 억제하고, 상황에 맞는 행동을 선택하게 도와주는 부분입니다. 전두측두엽 치매에서는 이 억제 기능이 무너지면서 사회적으로 용납되지 않는 충동적인 행동이 매우 자주 나타납니다.

주요 충동 조절 장애

  1. 과잉 식욕 및 음식 집착
    • 초콜릿, 사탕, 튀김류 등 특정 음식에 과도하게 집착
    • 밤중에도 몰래 먹거나, 음식을 숨기는 행동
  2. 성적 행동의 변화
    • 성적 농담이나 행동을 장소, 상황 가리지 않고 시도
    • 공공장소에서 음란물 보기, 노출 행동, 자위 등
  3. 강박적 반복 행동
    • 같은 말 반복, 손 씻기 반복, 물건 정리 반복
    • 이유 없는 걷기, 손뼉 치기 등 목적 없는 행동 반복
  4. 무모한 결정과 금전 사용
    • 충동적으로 비싼 물건을 구입하거나, 사기 피해
    • 무작정 카드를 사용하거나, 보이스피싱에 쉽게 노출
  5. 공공장소에서의 무례한 행동
    • 모르는 사람에게 말을 걸고 따라다니거나
    • 식당에서 시끄럽게 말하거나 음식에 손을 대는 등

사고 위험과 법적 문제 가능성

이러한 행동은 단순한 사회적 불편을 넘어 법적 문제나 신체적 위험으로 직결될 수 있습니다.
예:

  • 교통 신호 무시 후 무단횡단 → 사고
  • 상점에서 물건을 훔치는 것처럼 행동 → 절도 혐의 오해
  • 성추행 오해로 법적 분쟁

가족 보호자의 어려움

  • 환자의 행동을 통제하기 위해 24시간 감시가 필요하며,
  • 부끄러움, 피로감, 사회적 고립을 동시에 겪게 됩니다.
  • 가족 내 갈등과 돌봄 번아웃 증후군 위험도 높아집니다.

치료적 접근

  • 충동성은 약물치료와 행동요법을 병행해야 하며,
  • 도파민 조절제, SSRI, 항경련제 등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
  • 일상적 리듬과 습관 형성, 환경 제한도 병행되어야 합니다.

결론 – 성격이 이상해졌다면, 치매일 수 있습니다

전두측두엽 치매는 감정 조절 장애, 언어 장애, 충동성 증가와 같은 특징적인 증상을 보이는 질환입니다. 일반적인 치매와는 다르게 기억력보다는 성격 변화와 행동 문제가 먼저 나타나며, 환자가 자신의 변화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환자의 행동 변화를 이해하고, 적절한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사회적 상호작용을 지속적으로 유도하고, 일상생활에서 적절한 규칙을 제공하며, 필요시 전문가의 상담을 받는 것이 치매 관리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가족과 간병인은 환자의 감정과 행동을 존중하면서도, 부적절한 행동을 부드럽게 조정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치매 진행 속도를 늦추기 위해서는 조기 진단과 치료가 필수적이며, 환자의 개별적인 증상에 맞춘 맞춤형 관리가 필요합니다.